은성수 금융위원장이 2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사진=금융위원회
이미지 확대보기은 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 개막식에서 환영사를 통해 “핀테크 발전이 글로벌 금융산업의 지형을 바꾸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금융위와 금융감독원이 주최하고 한국핀테크지원센터가 주관하는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은 ‘핀테크와 지속 가능한 금융혁신’을 주제로 이날부터 28일까지 3일간 온·오프라인으로 열린다.
은 위원장은 “일부 핀테크 기업들의 시가총액이 기존 금융회사들을 넘어섰고, 핀테크 산업에 대한 글로벌 투자는 지난 2013년~2019년 8배 이상이증가했다”고 말했다. 예컨대 중국 앤트 파이낸셜의 시가총액은 3200억달러로, JP모건의 3160억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은 위원장은 “미국과 영국, 일본 등 선진국들은 핀테크 주도의 혁신을 촉진하고, 핀테크 회사들과 전통 금융회사들과의 경쟁을 이어가고 있다”며“중국과 인도, 동남아시아 국가 등 신흥국들은 글로벌 금융시장에서의 격차를 좁히기 위해 핀테크 산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편으론 우리는 금융의 디지털화로 인해 나타나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며 “각국 정부들은 디지털 격차, 인공지능(AI)의 오용, 늘어나는 빅테크의 마켓파워 등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들을 마련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국 정부도 핀테크육성지원법 제정, D-테스트베드 운영 등을 통해 금융권 핀테크 인프라를 고도화하고, 핀테크 유니콘 등장을 촉진해 핀테크 성장과 디지털 금융혁신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은 위원장은 “핀테크 산업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법적 테두리를 더욱 정교하게 다듬고 금융기관들을 위해 핀테크 투자 과정과 기업 범위 등에 대한규제를 완화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금융기관들의 핀테크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활성화하고 핀테크 기업들은 금융시장에 혁신적인 서비스들을 출시하기 위한 충분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정부는 핀테크 스타트업들이 아주 초기 단계에서도 D-테스트베드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스타트업은 새로운 사업 아이디어를 실제금융 데이터를 활용해 가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금융서비스에서의 금융서비스 내 AI 기술 적용을 촉진하기 위해 금융서비스 AI 활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준비하고 있다”며 “가까운 미래에 한국에서 더 많은 핀테크 유니콘들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금융의 디지털화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해 금융안정에도 힘쓰겠다고 했다. 은 위원장은 “금융안정은 혁신만큼 중요하다”며 “더 많은 이들이 금융혁신의 결과물을 더욱 안정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행사에서는 핀테크 기업 기업설명회(IR), 투자자(VC) 상담회 등 프로그램을 신설해 100여개 이상의 핀테크 기업들에 실질적인 투자유치 기회를 제공한다.
오프라인 행사에서는 각국의 다양한 핀테크 동향을 공유하고, 핀테크 체험과 투자 기회를 제공한다. 디지털 금융혁신 정책 설명회, 혁신금융 서비스 소개 전시 부스 시연, 우수 기업 투자 유치를 위한 IR 행사(경진대회 형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온라인 행사에서는 핀테크 기업과 투자자(VC) 및 금융회사 간 1대일 온라인 미팅, 온라인 전시관(146개)을 통한 비즈니스 매칭, 핀테크 투자설명회 등을 개최한다.
일반국민, 학생, 예비취업자에 핀테크 체험과 취업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전시관, 채용관 등의 프로그램도 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