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희 하나자산신탁 사장
이창희 하나신탁 사장은 “부동산 신탁사들은 앞서 언급한 시장 침체, 경쟁 심화, 재무부담 증가 등 3중고외에도 정부의 부동산규제 정책 기조 유지를 비롯하여 어느 때 보다도 악화된 사업환경에 직면해 있다”며 “이를 타개하기 위해 절실한 생존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이를 위해 그는 신규 상품 발굴과 사업영역 확대를 강조한다.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시장 경쟁자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기존상품만으로는 시장 확대를 기대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책임준공 부동산신탁이 이제 신탁 업계의 대표 상품인 된 것처럼 이와 유사한 상품들을 지속적으로 내놔야 한다는 얘기다.
이 사장은 “책임준공 상품이 출시된 2016년도에는 약 197억원으로 전체 수주시장의 2%에 불과했다”며 “그러나 2019년에는 약 2288억원으로 전체 수주시장의 23%를 차지해 수주시장의 급격한 하락을 막는데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신규 상품 출시와 사업영역 다각화는 전체 신탁시장의 규모를 늘리고 성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부동산신탁사 전체가 고민하고 성과를 만들어야 내야 할 당위성이 충분하다는 얘기다.
대내외 경제환경의 변동성 최소화와 지속성장 가능하도록 중장기 안정적 수익 기반을 마련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선제적 리스크관리가 동행해야 한다고 이 사장은 말한다. 부동산시장이 좀처럼 회복세를 보이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과거 개발 및 분양형사업으로 수주한 사업장에서 재무적인 부담이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