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말 기준 시중에 유통중인 은행권 중 5만원권이 금액으로는 84.6%(98.2조원), 장수로는 36.9%(19.6억장)로 금액, 장수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9년 6월 처음 발행된 이후 10년이 지난 지금 4개 은행권 중에서 만원권을 대신해 중심권종으로 빠르게 자리매김했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5만원권」 발행 10년의 동향 및 평가'에 따르면 5만원권은 금액 기준으로는 발행 이후 2년만인 2011년에, 장수 기준으로는 2017년에 비중이 가장 높아졌다.
많은 국민들이 5만원권을 소비지출, 경조금 등에 일상적으로 사용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경제주체별 현금사용행태 조사 결과, 국민들은 거래용 현금의 43.5%, 예비용 현금의 79.4%를 5만원권으로 보유하고 있었으며, 5만원권의 용도로는 소비지출에 43.9%, 경조금에 24.6%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천원권과 색상이 혼동되고 환수율이 지나치게 낮다는 지적이 있었으나 현재는 해소됐다고 밝혔다.
한은은 "5만원권 발행 직후 유사한 황색 계열이 사용된 5천원권과의 구별이 어렵다는 민원이 다수 있었다"며 "노출빈도 확대로 국민들이 점차 익숙해지면서 관련 논란이 사실상 종결됐다"고 설명했다.
고액권으로 높은 위조유인에도 불구하고 대량 위조나 일반인이 진위를 분간하기 어려운 정밀한 위조사례가 아직까지 발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은에 따르면 5만원권 위폐 발견장수는 10년 동안(2009.7월~2019.3월) 총 4447장(2건 대량위폐 제외시 1084장)에 불과해 동 기간중 전체 발견장수의 9.2% 차지에 그쳤다.
5만원권 발행, 유통으로 '화폐이용 편의 증대, 관리비용 절감, 자기앞수표 대체, 도안인물 다양화' 등 긍정적 효과를 냈다고 소개했다.
5만원권 발행으로 4개 액면의 은행권을 보유하게 돼 경제거래에 필요한 적정한 은행권 액면체계를 확보했고, 만원권 제조와 비교하면 5만원권 제조시 비용은 연간 약 600억원 내외 절감되는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정액(주로 10만원) 자기앞수표를 거의 대부분 대체했는데 10만원 자기앞수표 교환 장수는 2008년 9.3억장에서 2018년 0.8억장으로 대폭 축소했다고 밝혔다.
한은은 지난 2009년 6월23일 새 최고액면 은행권인 5만원권을 발행하기 시작했다.
한은은 "만원권 발행(1973년) 이후의 경제규모 확대, 물가상승 등이 지속적으로 이어졌다"며 "이에 맞게 은행권 최고액면을 상향 조정해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고, 국민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5만원권 발행 및 유통을 시작하게 됐다"고 밝혔다.
김경목 기자 kkm341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