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연구원이 19일 명동 은행회관에서 '대북제재 완화 이후 남북경협 활성화를 위한 금융의 역할'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미지 확대보기19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한국금융연구원이 개최한 '대북제재 완화 이후 남북경협 활성화를 위한 금융의 역할' 세미나에서 조봉현 IBK경제연구소 부소장은 "북한이 주민 생활 향상과 관련한 실생활형 금융체계로 휴대폰 확산과 연계한 모바일 금융을 구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봉현 부소장 발표 자료에 따르면, 북한의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약 600만명이다. 평양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20~50대 휴대전화 가입률은 50~70%를 웃돌고 있다.
'지능형 손전화기'로 불리는 스마트폰도 2013년 출시됐으며, 자체 조립생산한 상품 만도 20여종에 이른다.
옥류, 만물상 등 인트라넷 쇼핑몰을 통해 모바일 쇼핑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모바일이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임에도 결제 인프라는 여전히 열악하다는 지적이다.
북한 주민들은 사용대금을 결제하거나 추가 사용하려고 충전을 하려면 통신국이나 지정소를 직접 방문해야 하는데 평균 이동거리가 20~30km에 달한다.
조봉현 부소장은 북한의 모바일 금융 도입을 위한 4단계 구상도 제시했다.
1단계는 공항, 기차역, 상점, 주요기관 등 주요 거점에 ATM을 설치해 통신요금을 납부하는 방식이다.
2단계는 앱(APP) 기반 통신 요금 송금으로, 모바일에 설치된 은행 앱의 계좌를 통해 통신요금을 납부하는 것이다.
3단계로 케냐의 엠페사(M-PESA)와 같은 모바일 결제시스템 벤치마킹 방안도 제시됐다. 4단계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기반으로 앱결제, 송금, 전자상거래, 대출 등 종합 금융으로 확대하는 구상이다.
조봉현 부소장은 모바일 결제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정책적 과제를 제안했다. 주요 거점에 ATM기기를 설치해 요금을 납부할 수 있는 결제망에 적합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망을 구축하는 것이다. 조봉현 부소장은 ATM기기의 경우 약 2만 대가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조봉현 부소장은 "단계 별로 모바일 금융 관련 법제를 개선하고 모바일 금융 관련 조직과 인력 양성도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